반응형 NEC6 NEC코드에서의 Gas Group 구분과 의미 가스의 특성 및 Group 분류기준NEC 코드에서 Class가 물질(type), Division이 상태(type of conditions)에 따른 위험지역의 구분라면, 이제 알아볼 세번째 분류기준인 Group는 물질의 속성(nature)에 따른 분류입니다. 가스는 각자 고유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공기에 반응하는 정도(The combinations of how each reacts in air)나 액체에서 기체로 바뀌는 시점, 인화성 등으로 자신만의 특징을 가집니다. 이중 방폭에서 주목하는 특징에는 발화온도, 인화점(flash point), 발화한도(flammable limits), 최소발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 등이 있습니다. 이런 특징들이 모여 가스의 특성을 형성하고, 이.. 2025. 2. 26. Division 지역의 구분과 의미 NEC 코드 위험지역의 두번째 분류, Division앞서 살펴본 Class가 물질(Type)에 따른 위험지역의 구분이라면, Division은 상태(type of conditions)에 따른 위험지역의 분류입니다. 여기서의 상태란 정상적인 상태(normal conditions)이냐 비정상적인 상태(abnormal conditions)냐를 말합니다. 가령 날마다 하는 작업(day-to-day production)이나 자주 반복되는 유지 관리 작업중에도 위험물질이 있다면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위험이고, 사고나 흔치않은 작동불량 상태에서만 위험이 생긴다면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의 위험입니다.NEC 코드에서는 이렇게 2가지로 위험상태로 분류하고 첫번째를 Division 1, 두 번째를 Division 2로 정의합니.. 2025. 2. 26. Class 지역의 구분과 의미 NEC 코드 위험지역의 첫번째 분류, Class1930년대이후 북미지역에서는 “Class, Division“시스템을 사용하여 위험지역을 분류하게 됩니다. 위험지역이라고 해서 모두같은 정도로 위험한 것이 아니며, 물질에 따라 위험지역의 범위와 보호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아낸 것입니다. 즉, 장비가 설치되는 곳의 주요 물질이 무엇이냐에 따라 폭발 조건이 다르고 폭발시 물질이 연료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물질을 Class로 정의하고 물질의 종류(type)에 따라 위험지역을 정의했습니다. 물론 시간상으로는 Division 개념이 먼저 정의되었고 그 뒤에 Class로 세분화시켜나갔지만, 방폭 마킹 순서로는 Class를 먼저 표시합니다.방폭용 장비는 당연히 그 등급을 제품에 표시(marking)해야 합니.. 2025. 2. 26. NEC의 인증체계와 인증마크의 의미 미국과 캐나다의 인증체계 및 유럽지역과의 비교기본적으로 방폭인증시스템은 장비설계나 설치 검사 등에 대한 사항이 담긴 표준을 정하는 일은 국가 또는 공적기관에서 하고, 그에 따라 테스트하고 인증하는 업무는 대부분 제3의 기관이 담당합니다. 미국은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미국 노동성 산하의 직업안전 위생국, 정부조직), 캐나다는 SCC(the Standards Council of Canada, 안전인증 관련 공기업)가 산업표준업무를 주관합니다. 여기에 등록되는 인증기관(공인시험소)을 미국에서는 NRTL(nationally recognized testing laboratories)이라고 하고, 캐나다에서는 SDO(standards devel.. 2025. 2. 26. 전기장비의 표준(IEC 코드와 NEC 코드) IEC 코드와 NEC 코드현재 전세계에는 여러 가지의 전기장비 표준이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지역특성이나 산업환경에 맞게 표준을 제정하고 국내외 산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한 행정상 절차에 불과한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제품에 추가적인 조건이 요구하고 해당 국가내에서의 제품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표준을 만족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브라질(Brazil)의 경우에는 Immetro 인증을 필요로 합니다. 러시아의 경우에는 Gost-R이였다가 현재 TRCU로 변경된 상태입니다. 인도의 경우에는 PESO와 DGMS 인증이 있어 모든 수입품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KCS인증이 있습니다.이 표준 중에는 양대산맥이라 할 수 있는 IEC(International Electr.. 2025. 2. 26. 가스그룹의 분류와 분진그룹 가스그룹(Gas Group)의 분류왼쪽 첫번째 그림에는 빨간 박스로 IIC와 IIIC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두개의 차이는 장비가 설치되는 위험지역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표시 차이로, IIC는 가스(증기)관련 표시이고, IIIC는 분진관련 표시입니다. 먼저, 가스 관련 표시인 IIC부터 살펴보겠습니다.방폭장비를 선택할때는 장비가 설치될 곳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체의 특성들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기체와 증기는 개별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기체별 특성을 하나하나 따져 각각에 적합한 장비를 선정하고 적용해야 할까요? 비용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불가능한 일입니다.이에 각 기체의 특징을 고려해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기체끼리 묶어서 가스그룹(Gas Group)을 만들었습니다. IEC 분류기준.. 2025.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