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본질방폭10

전기장비의 표준(IEC 코드와 NEC 코드) IEC 코드와 NEC 코드현재 전세계에는 여러 가지의 전기장비 표준이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지역특성이나 산업환경에 맞게 표준을 제정하고 국내외 산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한 행정상 절차에 불과한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제품에 추가적인 조건이 요구하고 해당 국가내에서의 제품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표준을 만족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브라질(Brazil)의 경우에는 Immetro 인증을 필요로 합니다. 러시아의 경우에는 Gost-R이였다가 현재 TRCU로 변경된 상태입니다. 인도의 경우에는 PESO와 DGMS 인증이 있어 모든 수입품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KCS인증이 있습니다.이 표준 중에는 양대산맥이라 할 수 있는 IEC(International Electr.. 2025. 2. 26.
압력방폭(Purge/pressurized protection, Ex p)의 개념과 장비 구성 및 운영 압력방폭(PRESSURISATION, Ex p)의 개념과 장비 구성압력방폭은 폭발3요소중 연료를 제어하는 방식(exclusion)입니다. 압력방폭 박스(Enclosure) 내부에 보호기체를 넣어놓고 주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하면, 박스내부의 기체만이 박스외부로 나갈수 있을뿐 박스외부의 폭발성 혼합기체는 박스내부로 들어올 수 없게 됩니다. 그러면 박스 내부에 발화원이 스파크를 생성해도 박스내부에는 연료가 없으니 폭발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원리로 방폭을 구현하는 것이 압력방폭(Ex p)입니다.압력방폭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장비가 필요합니다. 먼저, 압력방폭용 박스(Enclosure)가 있어야 합니다. 이 박스내부에 각종 일반(비방폭) 장비들이 설치되며, 외부충격이나 내부의 정압(과압,overp.. 2025. 2. 26.
본질안전 방폭의 장비 종류와 장단점, 설치시 유의할 점 제너다이오드 베리어 VS 아이솔레이터(galvanic isolator)베리어의 역할로 앞서 말씀드린 제너다이오드 배리어외에 아이솔레이터(galvanic isolation)가 있습니다. 제너다이오드 베리어에 비해 나중에 개발된 아이솔레이터의 특징은 전기적인 연결이 없다는 것입니다. 왼쪽 회로도 그림에서 보이듯이 위험지역을 거치는 회로와 비위험지역용 회로 중간에 절연된 층(layer of insulation)을 집어넣어 물리적인 연결이 없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transformer나 optocoupler 또는 relay 등을 이용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며 최종적인 전원의 제한 역시 제너다이오드와 비슷한 원리를 가진 다이오드저항을 사용합니다.아이솔레이터는 가장 큰 장점은 접지에서 자유롭다는 것입니다.. 2025. 2. 26.
본질안전(Intrinsically Safe, Ex i)의 개념과 배리어(barrier)의 작동원리 본질안전(Intrinsically Safe, Ex i)방폭의 개념본질안전은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폭구조로 영문 뜻대로 본질안전(Intrinsically Safe, 줄인 약자는 IS) 방폭이라고 부릅니다. 기본개념은 폭발3요소인 발화원, 산소, 연료 중 발화원을 통제하는 Avoidance로, 발화를 일으키기에는 약한 수준의 에너지(limited energy)를 사용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상태(fault condition)에서도 발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합니다. 다른 방폭 구조들이 물리적인 방법(mechanical means)을 사용하는데 비해 본질안전은 전기적인 방법(electrical protective measure)을 사용하는 셈입니다. 이로 인해 주로 저전력장비에 적용됩니다. 때문에 고전.. 2025. 2. 25.
비점화 방폭(Ex n, Non-sparking)의 기본 개념 비점화 방폭(Ex n, non-sparking)이 사용되는 지역비점화 방폭은 원래 non-spaking 개념으로 사용되다가 여러 방폭 구조의 요소가 도입되면서 이제는 다양한 방폭 장비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Ex nA, Ex nC, Ex nL, Ex nR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서로 다른 나름의 방폭 매카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통점은 EPL기준으로 Gc, 즉 Zone 2지역에만 적용된다는 점입니다.Zone 2지역에 적용되는 장비는 많습니다. 사실상 모든 방폭장비가 Zone 2지역(EPL 기준 c)에 적용가능합니다. 오직 Zone 2지역에만 적용되는 방폭구조는 Ex nA, Ex nC, Ex nL, Ex ic, Ex nR, Ex pz 인데, 이중 Ex n+(대문자)로 표시되는 방폭구조를.. 2025. 2. 25.
제품별 안전증(Increased Safety)의 의미 제품별 안전증 방폭안전증 방폭에서 안전증((Increased Safety)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제품의 안전성(level of safety)를 증가시켰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인 제품안전규격 보다 좀더 높은 안전기준(additional safety margin)을 적용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증가시켰다라는 뜻입니다. 주된 초점은 만일 안전증방폭 장비가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abnormal condition)라 할지라도 방폭장비나 그 구성품들이 발화원으로 둔갑하지 않도록 여러가지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두었다는 뜻입니다. 발화원인 열, 아크, 스파크를 제거하기 위해 어떤 장치를 추가했을까요? 발열방지를 위한 안전증 기술먼저,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허용전압을 낮춰서(De-rating)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습니.. 2025. 2. 25.
안전증 방폭(Increased Safety, Ex e)의 기본 개념 안전증방폭(Increased Saftey, Ex e)의 개념독일에서 고안되어 발전한 안전증 방폭(Increased Saftey, Ex e)은 폭발의 3요소인 산소, 연료, 발화원중에 발화원(source of ignition)을 제거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Avoidance라고 하며, 왼쪽 그림에서처럼 Ex i, Ex n 방폭구조가 Ex e와 같은 원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앞서 ‘방폭 구조(Type of Protection)의 분류’에서 말씀드린 3가지 방폭구현 방법중에 하나입니다.안전증 방폭장비의 기본개념은 정상적인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장비 내부나 외부 구성품 등에서 발화원인 과도한 열이나 아크(방전) 또는 스파크(불꽃)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장비보다는 .. 2025. 2. 25.
내압방폭장비의 설치 및 유지 관리시 주의사항 설치도 중요한 내압방폭박스내압방폭구조와 관련하여 압력중첩현상(Pressure Piling)이란 것이 있습니다. 압력중첩현상이란 2개이상의 내압방폭 박스가 배관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왼쪽 사진에서 보이듯이 Switchstack이라고 해서 많은 내압방폭박스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습니다. 만일 연결된 박스 중 어느 한쪽 박스에서 내부폭발이 일어나면 불꽃(flame)과 함께 압력파(pressure wave)가 발생하는데, 연결된 배관 등을 통해 다른 쪽의 박스에 있던 가연성폭발기체를 압력파가 압축시키고, 뒤따르는 화염에 의해 압축된 폭발성기체에 불이 붙으면서 그 폭발력이 훨씬 커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두번째의 내압방폭 박스에서는 본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압력보다 더.. 2025. 2. 25.
내압방폭(Flameproof, Ex d)과 화염통로(Flamepath)의 개념 내압방폭(Flameproof, Ex d구조)내압방폭(Flameproof, Ex d구조)은 방폭구조 중 가장 먼저 발달된 개념이고,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는 방폭 구조입니다. 내압방폭은 폭발자체를 방지하는 다른 방폭구조의 개념과는 달리 박스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대신 폭발할때 생기는 압력 등을 견디고, 동시에 폭발한 가스가 박스외부에 있는 혼합성 기체로 전이되는 것을 막도록 제품을 설계하는 것입니다.이 개념은 주로 박스(Enclosure)의 형태로 구현하기 때문에 박스내부에 다른 제품들은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폭발방지 메카니즘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비방폭제품도 내압방폭 박스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특정기능을 하는 제품을 위험지역내에서 사용해야하는데, 그에 해당.. 2025. 2. 25.
방폭 구조(Type of Protection)의 분류 방폭구조(Type of Protection)의 분류어떻게 위험지역에서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는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전기장비를 줄여서 가급적 위험지역 바깥에다 설치하는 것입니다. 아니면 유증기 또는 분진이 있을만한 곳에는 신선한 공기를 계속 공급해서 위험지역의 범위를 줄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위험지역 자체가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위험지역내에 전기장비의 설치는 불가피 합니다.방폭형 장비에서는 앞서 살펴본 폭발의 3요소(산소, 연료, 발화원)중에 한가지 요소 이상을 제거해버리거나 작동하지 못하도록 설계하여 폭발을 방지합니다. 3요소중 하나라도 없으면 폭발은 일어나지 않으니까요. 가령, 폭발 3요소중 연료부분을 제거하여 폭발을 방지(Exclusion)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025.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