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tock4

주식이론 - 엘리어트 파동이론 : 엘리어트 이론의 한계 [04] 엘리어트 이론이 한계다. 당연할 수 있지만, 모든 이론엔 한계가 있고, 이를 보완하여 다른 이론들도 함께 공부해서 적절히 잘 섞어서.... ​ 엘리어트 이론의 가장 큰 약점은 너무나 융통성(flexibility)이 많다는 점이다. 거의 모든 법칙이 예외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형적인 파동이 있는 반면에 파동이 변형되는 경우도 허다하므로 파동을 해석하는 것이 분석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더라도 어떤 하나의 공통된 의견으로 집결하는 것이 힘든 경우가 많다. ​ 결론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엘리어트 이론은 유용한 이론임에도 틀림없지만, 엘리어트 이론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 출처 : 하이투자증권 2021. 1. 30.
주식이론 - 엘리어트 파동이론 : 법칙 [03] 이번엔 엘리어트 이론의 법칙을 공부해보려고 한다. 절대불가침의 법칙 첫째,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밑으로는 내려가지 못한다. 둘째, 3번 파동이 제일 짧을 수는 없다. 셋째, 4번 파동과 1번 파동은 서로 겹칠 수 없다. (예외-삼각 쐐기형에서는 4번 파동이 1번 파동의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 나타날 수 없는 파동 파동변화의 법칙 같은 종류의 파동이 연이어 나타나기보다는 서로 다른 종류의 파동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법칙이다. 예를 들어 조정파동인 2번 파동이 정통적인 단순(simple)형태로 구성되었다면, 다음에 나타날 조정 파동인 4번 파동은 복합적인(complex)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파동 평형의 법칙 추진파동인 1번 파동, 3번 파동 및 5번 파.. 2021. 1. 30.
주식이론 - 엘리어트 파동 : 각 파동의 특징 [02] ​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에서, 각 파동이 특징을 알아보자. 아직 갈길이 멀다.... 1번 파동 1번 파동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서, 이제까지의 추세가 일단 끝나고 다시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출발점이다. 일반적인 경우, 제1번 파동은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짧으며, 보통의 경우는 바닥 수준에서의 단순한 반등 정도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아서 알아내기 힘들다. 그러나 1번 파동은 일단 완성되는 것이 확인된다면, 앞으로의 거래방향을 결정하는데 주로 핵심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1번 파동은 추진파동이므로, 반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번 파동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2번 파동은 1번 파동을 38.2퍼센트 또는 61.8퍼센트 비율만큼 되돌리는(retracemen.. 2021. 1. 30.
주식이론 - 엘리어트 파동이론 : 기본파동 [01]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기본적인 사항으로 한번쯤 들어봤을 이름. 기본 이론이지만, 알기 어려운 기본 이론으로, 한번 공부해보고자 한다. ​ 엘리어트 이론의 기본파동 엘리어트가 발견한 가격변동의 법칙은 시장의 가격이 일정한 리듬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리듬은 5번의 상승파동과 3번의 하락파동으로 구성된다. 즉, 한 번의 가격 움직임에는 모두 3번의 하락파동으로 구성된다. 즉, 한 번의 가격 움직임에는 모두 8번의 상하파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국면의 5개의 파동은 각각 1번에서 5번까지의 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1번 3번 5번은 상승파동이며, 2번과 4번 파동은 하락파동이다. 이 때, 상승하는 파동인 1, 3, 5번의 파동을 추진파동(impulse wave)이라고 부르며, 하락하는 2, .. 2021.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