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주식의 기본

주식이론 - 엘리어트 파동이론 : 엘리어트 이론의 한계 [04]

양프라스a 2021. 1. 30. 01:18
반응형

엘리어트 이론이 한계다.

당연할 수 있지만, 모든 이론엔 한계가 있고,

이를 보완하여 다른 이론들도 함께 공부해서

적절히 잘 섞어서....

엘리어트 이론의 가장 큰 약점은 너무나 융통성(flexibility)이 많다는 점이다. 거의 모든 법칙이 예외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형적인 파동이 있는 반면에 파동이 변형되는 경우도 허다하므로 파동을 해석하는 것이 분석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더라도 어떤 하나의 공통된 의견으로 집결하는 것이 힘든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엘리어트 이론은 유용한 이론임에도 틀림없지만, 엘리어트 이론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출처 : 하이투자증권

반응형